top of page
  • HLD

현대 조경작품에 나타난 프랑스 전통정원의 재해석

이호영



Intro

현대 정원설계에 나타나는 전통 정원에 대한 재해석은 전통 정원의 ‘재현’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느냐를 기준으로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여기서 ‘재현’이라는 것은 표현, 모방 등 유사 의미가 많지만 여기서는 재현물을 디자이너가 의미전달을 위해 만들어낸 텍스트, 오브제, 이미지 등 모든 것을 다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재현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직설적 재현과 추상적 재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설적 재현이 대상의 이미지를 정확하고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라면, 추상적 재현은 대상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사물의 내용 및 특성을 추출하여 재현하는 방식이다.


직설적 재현은 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보편적인 앎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물리적인 실재세계를 재현의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작가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대상을 묘사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대해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작가의 정서와는 무관하다. 반면에, 추상적 재현은 작가의 정서에 의해 선택된다. 재현의 대상을 작가 자신의 창조적 목적에 맞추어 옮기고 변형함으로써 재창조할 수 있다. 사실적 묘사가 아니기 때문에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에 따라 다양한 감정과 해석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직설적 재현이 대상과 재현물간의 유사성에 있다면, 추상적 재현은 유사하다기 보다는 대상을 은유적으로 지시한다.(김은진, 1998)


정원에서는 특정한 정원요소, 정원구성원리 등이 재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대상을 디자이너는 여러 설계요소를 가지고 직설적으로 혹은 추상적으로 재현하게 된다. 따라서 먼저 재현의 대상이 되는 프랑스 정원의 특성을 알아보고, 1920-30년대의 프랑스 모더니즘 정원에서 나타난 프랑스 전통정원의 재해석 측면을 살펴본다. 또한 이후 유럽의 현대 조경가들이 직설적 재현과 추상적 재현 사이의 스펙트럼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프랑스 전통정원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프랑스 정원의 특성

프랑스 전통정원의 재현에 대해서 이야기하려면 우선 프랑스 전통정원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첫째, 프랑스 전통정원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는 파르테르(Parterre, 자수화단, 장식화단), ‘하-하’기법, 알레(Allée), 거위 발 형태의 방사형 길, 울타리, 입체적인 수직요소로의 총림, 평탄한 수경시설 등이 있다.

  1. 파르테르 (Parterre)

  2. 총림 (Bosquet)

  3. 수경요소

  4. 알레 (Allée)


둘째, 구성원리는 평면기하학적인 구성원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기하학적인 도형을 패턴으로서 활용했다는 것이 아니라, 땅의 레벨을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원근법, 수력학, 토목학, 측량학 등 과학기술을 활용해 수학적 계산을 거치는 방식을 의미한다. 르 노트르가 설계한 보르비꽁트는 최초의 평면기하학식 정원으로 알려져 있다. 강한 축을 형성하는 알레(Allee)와 공간을 경계짓는 총림(Bosquet)이 비스타를 형성하고 건물 앞으로는 화려한 파르테르(Parterre)가 펼쳐져 있다. 강한 축과 대칭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보이는 보르비꽁트에는 경관을 만드는 다양한 기법들이 적용되었다. 르 노트르는 수평선을 확장시키고 건물을 나왔을 때 보여지는 잔디와 물의 형태의 시각적 착시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수학적 계산을 통해서 치밀하게 땅의 레벨을 조정하였다. (Clemens Steenbergen, Wouter Reh, 1996) 데잘리에 다르장빌은 1709년 집필한 “정원술의 이론과 실천”에서 르 노트르의 정원에 평면기하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기하학적 정원은 엄격한 정형성과 대칭성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각 정원의 공간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정원을 즐겁게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 보르비꽁트(Vaux-le-Vicomte)

  2. 베르사유(Versailles)

  3. 수평선이 확장될 수 있도록 정원 레벨을 조작하는 기법

  4. 착시를 만들어내기 위해 길이와 각도를 조정하는 기법


프랑스의 모더니즘 정원과 전통의 계승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파리를 중심으로 프랑스의 모더니즘 정원들이 발달했던 시기이다. 이 당시의 프랑스 모더니즘 정원들은 큐비즘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단순화된 기하학적인 형태와 패턴, 그리고 비대칭적 구조 등의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다.(이상민,1999) 1925년 가브리엘 구브르키안이 설계한 빛과 물의 정원은 삼각형 형태의 수경시설과 화단들이 각기 다른 각도로 배열되어 공간구성이 입체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정원의 구성방식은 그의 다른 작품인 ‘노아이으 빌라 정원’에서도 나타난다. 삼각형 형태의 정원에는 기하학 패턴의 화단과 다양한 질감의 식재를 통해 회화작품과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1924년 앙드레 베라와 폴 베라가 설계한 노아이으 호텔정원 역시 기하학적인 형태로 파편화된 큐비즘 회화작품처럼 보인다.


  1. 구브르키안의 빛과 물의 정원

  2. 구브르키안의 노아이으 빌라 정원

  3. 베라 형제의 노아이으 호텔 정원 평면도

  4. 베라 형제의 노아이으 호텔 정원

현대 미국 모더니즘 정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작가로 평가받는 르그랭 역시 큐비즘을 영향을 받았으나 르그랭은 평면적인 패턴에서 벗어나 그 패턴들이 공간 속에서 3차원적인 부피로 표현될 수 있도록 노력한 점에서 그 이전 모더니즘 정원 작가와 다르다. 르그랭의 공간들은 정원이 한 눈에 들어오지 않게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총림과 알레로 구성되는 프랑스 전통정원과 유사한 공간감을 제공한다.

  1. 따샤르(Tachard)정원 평면도

  2. 따샤르(Tachard)정원

1920~30년대 프랑스 모더니즘 정원은 직사각형 위주의 정형적인 구성에서 벗어나 원, 삼각형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들을 도입하고, 이를 표현하는 소재를 조각상, 수경시설, 파르테르, 총림이 아닌 유리, 거울, 타일, 콘크리트 등 신소재를 택했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프랑스 전통정원과는 다르게 프랑스식 정원의 계보를 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경험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보다는 정원의 형태적 변형에만 집중했다는 점은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작가들의 작품과 프랑스 전통정원의 계승

현재 유럽 조경가들의 작품에서도 프랑스 전통정원의 구성요소나 구성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네덜란드 조경회사인 WEST8은 많은 프로젝트에서 파르테르 정원을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파르테르가 정형적인 평면기하학적 공간 틀에 갇혀있지 않고 자유롭게 공간 속에서 구현되어 현대적 감각으로 전통의 맥을 잇고 있다.


  1. WEST8이 설계한 Toledo Bridge Garden

  2. Toledo Bridge Garden의 자수화단

WEST8 외에도 스페인 태생으로 정원을 구성할 때 기하학적인 도형, 물 그리고 빛의 세가지 요소를 중시한 페르난도 카룬초, 벨기에 태생으로 고전적인 토피어리 양식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정립한 자크 워츠, 영국 태생으로 토피어리를 중심으로 물, 금속 재료를 현대적으로 정원에 도입한 톰 스튜어트 스미스, 프랑스 태생으로 기하학적 패턴, 토피어리 등 프랑스 전통정원의 요소를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알랭 프로보 등을 통해 모던한 프랑스 정원을 접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작가들은 1920~30년대 모더니즘 작가에 비해 훨씬 자유로운 형태를 활용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파르테르, 수경시설, 토피어리와 같이 물리적 소재는 훨씬 더 전통적인 프랑스 정원의 특징을 재현하고 있다. 이 작품들 역시 구성원리보다는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프랑스 전통정원을 다층적으로 재해석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든다.



  1. 카룬초가 설계한 Mas de Les Voltes

  2. 자크 워츠의 정원

  3. 톰 스튜어트 스미스가 설계한 옥스퍼드셔의 정원

  4. 알랭 프로보가 설계한 탬즈 배리어 파크

이런 가운데 좀 더 주목해 볼 만한 조경가 중에 프랑스 태생의 루이 비네쉬가 있다. 비네쉬는 1990년대에 17세기 튈르리 정원을 재조성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이 당시 비네쉬는 철저한 고증을 통해 튈르리 정원 본연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현대 도시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재조성된 튈르리 정원에는 총림, 알레, 파르테르, 수경시설 등 전통적인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정원의 구성요소들이 그대로 나타난다.

  1. 17세기 튈르리 정원의 모습

  2. 재조성된 튈르리 정원

루이 비네쉬는 이후 2011년에 베르사유 내 폭풍으로 인해 훼손된 ‘물의 극장이 있는 숲’정원의 재조성 공모전에도 당선된다. 베르사유의 전통적 형태를 따라 기하학적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비네쉬가 제안한 플랜과 분수의 형태는 굉장히 자유로운 곡선이 대부분이다. 이에 대해 비네쉬는 프랑스 정원과 르 노트르의 정원은 반드시 기하학적인 것은 아니고, 프랑스 정원의 본질적 특징은 ‘제어’에 있다고 말한다. 그는 루이 14세가 베르사유를 감상하는 방법을 적어놓은 지침서를 분석하여, 그 감상법에 가장 적합하게 공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물의 극장이 있는 숲’을 조성했다.


  1. 르 노트르가 설계한 ‘물의 극장이 있는 숲’ 플랜

  2. 비네쉬가 설계한 '물의 극장이 있는 숲‘ 플랜

  3. 루이 비네쉬에 의해서 재해석된 ‘물의 극장이 있는 숲’의 전경

비네쉬의 또 다른 작품인 수쉐 호텔 정원은 18세기 프랑스 건축가 에티엔느 루이 불레에의 건물(지금은 GDF 수에즈의 본사)의 정원이다. 비네쉬는 불레에가 수쉐호텔을 설계할 당시의 유토피아를 구현하고자했던 공간 컨셉을 고증하고 정원에 이를 구현하고자 했다. 또한 비네쉬는 이 정원설계에서 르 노트르가 정원을 설계할 때 주로 사용하던 착시기법을 도입한다. 정원의 타원형 수반은 건물 내에서 바라볼 때 정확하게 원형으로 보이도록 조성되어졌다.


르네상스 시대의 성곽들로 널리 알려져 있는 솔로뉴 유적 역시 비네쉬의 손을 거쳐 재정비되어졌다. 여기서 그가 설계한 기하학적이지만 자유롭게 흐르는 수로는 프랑스 대평원의 풍부한 물을 활용했던 전통 프랑스 정원의 구성기법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고 보여진다. 비네쉬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단순한 프랑스 전통정원 요소의 차용이 아니라 주관적 방식으로 재해석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1. GDF 수에즈의 본사 정원

  2. 솔로뉴 유적(Property in Sologne)


Coda

현대 조경작품에 나타난 프랑스 전통정원의 재해석을 살펴보기 위해 ‘직설적 재현’과 ‘추상적 재현’ 사이에 존재하는 스펙트럼 사이에서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 보았다. 때로는 프랑스의 구성요소가 직설적으로 재현되는 경우도 있고, 작가의 철학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1920~30년대 작가들은 추상적 형태의 기하학적 정원으로 프랑스 정원의 전통의 맥을 잇고 있다. 하지만 공간에서의 경험에 관한 점에서는 프랑스 전통정원과의 연계성을 찾기가 어렵고, 너무 평면적이면서 형태 위주의 정원 구성이라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 뒤를 이어 많은 현대작가들의 작품에서는 전통정원 구성요소를 차용함에 있어서 훨씬 자유로운 형태적 변이와 전통적 재료 선택이라는 상반된 점을 함께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루이 비네쉬의 경우 본문에서 다루어진 어떤 작가들보다도 이러한 구성요소 상의 유사성은 대폭 줄이고, 전통정원의 구성원리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여 적용함으로서 전통조경과의 연계성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공간에서는 현대적인 측면이 시각적으로 부각되지만, 자연에서의 경험을 다루는 태도, 공간에서의 행태, 전통정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된 수학적 논리 등으로 사용자의 감정은 전통정원의 정통성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전통정원의 재해석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루이 비네쉬가 가장 재해석에 가까운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Note: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시작된 정원 트렌드 연구의 일환으로 쓰게 되었다.


참고문헌

1)Clemens Steenbergen, Wouter Reh(1996). Architecture and Landscape(The Design Experiment of the Great European Gardens and Landscapes). Prestel

2)김은진(1998). 조경설계에서 재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6-23

3)이상민(1999). 1920-30년대 프랑스 모더니즘 정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황주영(2015). 정원이론서를 통해 본 프랑스 형식주의 정원 -데잘리에 다르장빌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01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환경과 조경 2014년 10월호. pp104-113


인터넷사이트

1) https://gardencollage.com/wander/gardens-parks/louis-benech/, An interview with Louis Benech, Landscape Designer Extraordinaire

advocacy & innovation by desig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