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PLAY'GROUND'

Note: 이 글은 2020.06.01 월요일 아침에 진행한 MMS 에 대한 (때늦은) 기록, 요약 및 보완이다.




놀이터를 생각해볼 때 머릿속으로 떠오르는 정형화된 이미지가 있다. 바로 몇몇 개의 플랫폼과 그것들을 넘나들 수 있는 미끄럼틀, 계단, 그리고 그물망들. 말 그대로 여러 놀이 아이템들을 조합해 붙인 ‘조합놀이대’이다. 8-90년대에 많이 만들어진 플라스틱 조합놀이대가 있는가 하면 요즘에는 마치 동화 속에서 튀어나오기라도 한 듯한 양철 나무꾼의 놀이대, 금방이라도 움직일 것 같은 공룡 모양의 놀이대 등 솔직히 우리도 당장 뛰어들고 싶은 놀이대가 무궁무진하게 만들어진다.



조합놀이대 = 놀이터?


조합놀이대는 점점 어메이징하고 스펙타클해지고 있다. 이 와중에 우리에게는 조합놀이대가 있는 곳이 곧 놀이터이고 놀이터라면 마땅히 조합놀이대가 있어야 하는 곳이 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이렇게 놀이대의 형태에 주목하고 열광하는 순간, 한 가지 간과되는 것이 있다. 바로 놀이‘터’이다. 우리들의 놀이를 담아내야 할 땅은 예나 지금이나, 어떤 스토리를 담거나 매우 평탄하기만 하다.


놀이터를 설계한다면 놀이대 파사드 디자인에 앞서 여기서 어떻게 놀 수 있을지, 여기에 어떤 놀이들이 생기면 좋을지에 대한 고민, 즉 놂의 디자인이 먼저 되어야 한다. 그것에 따라 ‘터’는 풀이나 숲으로 뒤덮일 수도 있고 울퉁불퉁한 레고(LEGO)판이 될 수도 있다.



놀이의 공간과 재료를 제공하되 놀이의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 놀이터


놀이터의 많은 경우 놀이의 방식를 제한해 왔다. 미끄럼틀에서만 미끄러져야 하고, 그물에만 매달려야 한다. (안 그러면 큰일나는 줄 안다.) 놀이시설 안전기준만 살펴봐도 위험하려는 자와 막으려는 자의 끝없는 고민이 느껴지기도 하는데, 하지만 이것이 현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점은 어릴 적 경험을 조금만 기억해봐도 명확해진다. 미끄럼틀을 거슬러 오르기도 하고 난간을 타고 아슬하게 미끄러진다. 안전을 위해 위험한 행동을 막는 것만이 놀이터의 답은 아니다.


놀이터와 위험, 안전에 관한 흥미로운 영상을 mms에서 소개했다.

Why safe playground aren't great for kids


영상에서도 잠시 소개된 조경가 Marjory Allen의 이야기는 그의 책 'PLANNING FOR PLAY' 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그의 놀이터는 아이들이 마치 공사장에 내던져진 듯한 경악스러운 모습으로 다가오기도 하는데, 이용자 스스로 놀이의 방식을 결정하고 재료들을 모아 직접 미끄럼틀이나 짚라인을 만들어 체험하고 친구들과 공유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놀이터가 가지는 놀이의 방식은 매번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놀이 방식의 변화는 오히려 위험에 대한 새로운 자극을 주기도 하고 이용자 자신에 맞춰 놀이를 만들기 때문에 어떠한 신체적 한계로 인해 다가올 공간적 차별도 덜할 수 있다.

Marjory Allen의 Junkyard Playground.

image source: https://www.theguardian.com/cities/2017/jul/

19/junk-play-urban-adventure-playgrounds-austerity-london



안전기준이 너무 빡빡하다거나 창의력 증진 같은 교육적 의미를 들이밀려는 것은 아니다. 놀이터가 놀이터답게 재밌게 놀 수 있는 근본적인 접근이 먼저 되었으면 좋겠다. 도시 속 노는 공간을 놀이터로 축소시켜온 만큼 여기서는 원하는 대로 놀 수 있다는 메시지, 그리고 스스로 놀이를 찾는 경험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조회수 424회

advocacy & innovation by design

bottom of page